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31

국가, 이데아 사상과 기독교

동굴의 비유 수감자들은 쇠사슬에 묶인체 뒤를 보지못하고 동굴 안 벽면에 비친 그림자만을 볼 수 있습니다.동굴 밖을 보려면 몸 전체를 돌려야 하지만, 쇠사슬 때문에 밖을 한 번도 볼 수 없었습니다.오직 벽에 비친 그림자가 실재라고 그들은 믿고 있습니다.어느 날 한 사람이 사슬을 풀고 동굴 밖을 나가 실체를 보았고 그림자의 모습은 실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닳고 동굴 안에 갇힌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고, 다시 그들에게로 돌아갑니다.이 비유는 마치 기독교적 진리를 깨닳기 전 불신자의 모습과 동굴 밖의 모습을 본 동굴안 사슬에 묶인 나와 진리를 안 나의 모습을 연상하게 합니다.교육이란 혼의 지적 기관을 어떤 방법을 써야 가장 쉽고 가장 효과적으로 전향시킬 수 있는가 하는 기술입니다.오늘날 (동굴 벽에 비친)그림자를..

인문학 2022.09.03

독서 신학, 최선의 신학 공부방법

C.S 루이스 아마 C. S. 루이스만큼 고전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루이스는 오래된 고전인 아타나시우스 대략 주후 297~373년)의 성육신에 대하여를 소개할 때 그렇게 말했습니다. 1944년에 쓴 이 책에 대한 서론에서 루이스는 고전이 세 가지 이유로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첫째, 루이스는 고전이 과거의 사람들과 사상들과 논쟁들을 이해하는 데 가장 좋은 길이라고 말한다. 과거의 논쟁을 해석하려고 애쓰는복잡한 이차 문헌 속에서 헤엄치는 것보다는 단순하게 고전 자체를 읽는것이 사실상 더 수월하게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길입니다.둘째, 루이스는 고전이 믿을 수 있는 책이라고 주장합니다. 고전은 대대로 진정성이 확증되었습니다.고전은 고전으로 진정성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현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신학 2022.09.03

그리스도의 십자가, 모든것을 변혁 시키는 힘

십자가 신학의 정수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가장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인 십자가에 관해 쓰인 가장 존경받고 권위 있는 복음주의 저서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책은 위대한 주제들을 다룬 책의 표준이 되는 저서로서, 여전히 많은 독자들에게 영감을 주 고,도전하고,격려하고,가르고있습니다. 모든 것을 변혁시키는 십자가 십자가의 의미에 대한 존 스토트의 주의 깊은 분석은 십자가가 모든 것을 변혁시킨다는 것입니다.우리로 하여금 새롭게 하나님을 예배하게 하고, 자신에 대하여 새롭고 균형잡힌 이해를하게 해주며, 선교에 대한 자극, 원수를 향한 새로운 사랑, 고통의난국을 직면할 수 있는 새로운 용기를 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매순간 이 책의 독자들은 왜, 어떻게 십자가가 존 스토트의 믿음과 사역의..

신학 2022.09.03

중세 초기 신학, 케리크마 다양성의 시대

케리크마 본서가 다루는 시기 이전의 초대 교부 신학적 관심사는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와 연관된 신론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직전의 관심사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 사이에서 벌어진 은총, 원죄 및 자유의지에 관한 논쟁이었다. 그리고 이를 이어 받아 중세 전반기에는 성찬, 예정, 성상, 성령발현(필리오케) 등에 관한 논쟁의 불길이 격렬하게 타올랐다. 이들 중에서 앞의 두 논쟁은 본서가 특별히 부각하고 있는 주제에 속한다.본서의 흥미로운 부분은 특히 은총과 예정(원죄와 의지 문제)과 연루된 중세 신학의 스펙트럼(아우구스티누스주의, 펠라기우스주의, 반(半)펠라기우스주의,격렬한 성찬논쟁 (라드베르의 화체설과 라트랑의 반화체설), 케뤼그마적인 설교(예수의 일대기를 주제로 한 설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은총과..

신학 2022.09.02
728x90
반응형